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밀양 월연정을 들여다보다.

sky_lover_ 2017. 9. 7. 07:39

- 밀양 월연정


양 월연정(月淵亭)은 밀양강과 단장천이 합류하는 언덕배기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담양의 소쇄원과도 비교되는 이 정자는 작은 계곡을 사이에 두고 크게 두 구역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북쪽에 월연대(月淵)가 있고, 남쪽에 쌍경당(雙鏡堂)이 있습니다. 이 둘 사이에 작은 다리가 있어 서로를 이어주고 있습니다.

- 쌍경당


월연정은 조선 중종 때 월영(月影) 이태(李迨, 1483∼1536)가 월영사(月影寺)가 있었던 절터에 지은 별장입니다.


그는 중종 5년(1510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거쳐 중종 14년(1519년)에 함경도 도사(都事)로 재직하던 중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이곳으로 낙향했습니다. 중종 20년(1525년)에 이곳에 정자를 세우면서 정당(正堂)을 '쌍경당'으로, 대(臺)를 '월연대'라 이름 지었습니다.


그 후 이들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는데, 영조 33년(1757년)에 6대손인 월암(月庵) 이지복(李之復)이 복원하였습니다. 그리고 고종 3년(1866년)에 11대손 수당(睡堂) 이종상(鐘庠)과 이종증(李鐘增)이 월연대를 중건하였습니다.


- 담장


쌍경당 구역의 담장입니다. 


그동안 여러 차례 월연정을 찾았지만, 늘 문이 잠겨 있어 밖에서만 바라보았습니다. 그런데 오늘은 웬일인지 문이 열려 있었습니다. 다시없는 기회라고 생각하고 불쑥 집 안으로 들어가 주인에게 양해를 구하고 안을 둘러봤습니다.


- 제헌


문을 들어서니 '제헌(霽軒)'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 건물이 있습니다. 이곳 마루에 집주인의 지인들로 보이는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오늘 이곳 문이 열려 있는 이유를 알았습니다.


- 현판


건물 현판입니다. '제헌(霽軒)'이란 글씨가 멋들어지게 씌어 있습니다. 


- 제헌 뒤쪽


건물 뒤쪽 모습입니다. 건물에는 툇마루가 빙 둘러가며 있습니다.  


- 쌍경당으로 가는 문


쌍경당으로 향하는 문입니다. 이 문을 지나면 살림채가 있고, 그 더 안쪽에 쌍경당이 있습니다.


- 쌍경당


쌍경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집입니다. 형태는 사랑채 형태를 취했습니다.


- 현판


쌍경당 현판입니다. 숭정기원후이갑신(崇禎紀元後二甲申), 즉 숙종 30년(1704년)에 쓴 현판입니다.


'쌍경당(雙鏡堂)'이란 이름은 '강물과 달이 함께 맑은 것이 마치 거울과 같다.'라는 말에서 왔습니다.


- 월연대와 이어주는 다리


쌍경당 구역과 월연대를 이어주는 다리입니다.


- 붉게 핀 백일홍


월연대는 붉게 핀 백일홍으로 뒤덮여 있습니다. 그 화려함에 눈이 어지럽습니다.


- 월연대


월연대는 쌍경당 구역보다 약간 더 높은 언덕에 있습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정사각형을 하였습니다. 방은 가운데 있으며, 1칸짜리입니다. 방 주위로 마루가 빙 둘러가며 있습니다.


- 현판


월연대 현판입니다.


- 뒤쪽에서 바라본 월연대


뒤쪽에서 바라본 월연대 모습입니다.


월연정의 멋은 자신을 내세우지 않고 주위 자연과 하나가 되는 데 있습니다. 월연정이 주위 자연이 되고, 주위 자연이 월연정이 되는 조화로움... 그것은 얼마나 아름다운가요?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