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탑상무늬전돌, 통일신라시대
통도사 성보박물관의 작은전시회 '전(塼)돌'에 전시된 탑상무늬전돌입니다.
전돌은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전래하였습니다. 그 후 통일신라시대에 고구려와 백제의 기술을 흡수하여 전돌 문화를 꽃피웠습니다. 전돌 가운데 탑과 불상이 새겨진 것을 탑상무늬전돌이라 합니다. 탑상무늬전돌은 주로 전탑(塼塔)을 축조할 때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천불천탑 사상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 탑상무늬전돌(세부)
탑상무늬전돌에는 좌불과 탑이 번갈아가며 새겨져 있습니다.
- 탑상무늬전돌, 통일신라시대
다른 탑상무늬전돌입니다. 전체적인 구도가 앞의 탑상무늬전돌과 비슷합니다.
- 탑상무늬전돌, 통일신라시대
또 다른 탑상무늬전돌입니다. 이 탑상무늬전돌은 다소 간략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구도는 앞의 탑상무늬전돌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전벽해, 진해 안골왜성... (0) | 2017.06.24 |
---|---|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0) | 2017.06.15 |
연화문 장식 석탑 지붕돌 (0) | 2017.06.07 |
산청 경호정과 수위표 (0) | 2017.06.01 |
산청 척화비 (0) | 201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