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무장사 아미타여래조상 사적비


주 무장사터에 무장사 아미타여래조상 사적비(鍪藏寺阿彌陀如來造像事蹟碑)가 있습니다.

이 비는 신라 제39대 소성왕(재위 798∼800년)의 왕비인 계화부인(桂花夫人)이 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아미타여래상을 만들면서 그 과정을 기록한 것입니다. 따라서 비의 건립 연대는 소성왕이 죽은 다음 해인 801년으로 추정됩니다. 무장사(鍪藏寺)는 신라 제38대 원성왕의 부친인 효양(孝讓)이 그의 숙부 파진찬(波珍飡)을 추모하여 세웠다고 합니다.

- 귀부


귀부는 쌍귀부입니다. 귀부 머리 부분이 달아나고 없어졌는데, 2008년 11월 20일에 한쪽 귀부 머리 부분이 발견되어 붙여 놓았습니다. 귀부 머리는 거북 머리에서 용머리로 변화되어가는 중간 단계의 모습을 하였습니다.

이들 거북 등 위에는 비신을 직접 끼워두는 곳인 비좌(碑座)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모양은 직사각형입니다. 비좌의 네 면에는 돌아가며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처럼 비좌에 십이지신상이 새겨진 것은 매우 특이한 예에 속합니다.


다음은 비좌에 새겨진 십이지신상의 모습입니다.


- 비좌의 십이지신상


비좌 뒷면의 십이지신상 모습입니다.


- 쥐


비좌 뒷면의 십이지신상 가운데 쥐의 모습입니다. 머리를 옆으로 돌린 채 왼쪽 무릎을 세운 자세로 앉아 있습니다.


- 소


소의 모습입니다. 머리를 정면으로 향한 채 앉아 있습니다.


- 호랑이


호랑이의 모습입니다.


- 비좌의 십이지신상


비좌 옆면의 십이지신상 모습입니다.


- 토끼


토끼의 모습입니다.


- 용


용의 모습입니다.


- 비좌의 십이지신상


비좌 앞면의 십이지신상 모습입니다.


- 말


말의 모습입니다.


- 양


양의 모습입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겨울 해그름 녘의 경주박물관 석탑...  (0) 2015.12.08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  (0) 2015.12.05
창녕지역의 석탑  (0) 2015.11.28
함안 무기리사지 석탑  (0) 2015.11.23
창원 월계리사지 삼층석탑  (0) 2015.11.18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