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금동미륵반가사유상


금 경주박물관에서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이란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의 백미(白眉)는 '금동미륵반가사유상'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것을 이번 전시를 위해 8월 2일까지 잠시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왔습니다.

반가사유상이 전시되는 마지막 날에 반가사유상을 보려고 경주박물관을 찾았습니다. 물론 이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번 기회를 놓치기가 아까웠습니다.

무더운 날씨에도 경주박물관은 많은 사람으로 붐볐습니다. 특히 반가사유상 앞에는 많은 사람이 줄지어 서 있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었을 때는 조명이 어두워 자세히 살펴보기 어려웠는데, 이번 전시에선 조명이 밝아 좋았습니다.


- 왼쪽 얼굴


이제 하나씩 살펴볼까요? 머리에 삼산관(三山冠)을 쓴 채 지그시 감은 눈과 살포시 다문 입술에는 미소가 배어 있습니다. 이 모습을 바라보고 있으면 황홀해집니다.


- 오른쪽 얼굴


오른손 검지와 중지를 뺨에 살짝 대고 있습니다. 손가락은 조금씩 안쪽으로 굽혔는데, 새끼손가락은 거의 90도로 굽혔습니다. 아~ 이것은 무엇을 뜻할까요? 깨달음을 얻은 순간의 기쁨을 나타낸 걸까요?


- 옆얼굴


귓불은 길게 늘어져 있고, 그 가운데는 뚫려 있습니다. 머리 뒤쪽에는 광배를 꽂았던 긴 촉이 있습니다.


- 오른발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얹어 놓고, 왼손으로 발목을 살짝 잡았습니다.

- 왼손


자세히 보니 오른발 발목 위에 놓인 왼손에 살짝 힘을 준 듯하네요. 새끼손가락을 약간 더 구부렸습니다. 덩달아 오른발 엄지발가락도 위로 약간 제쳤습니다. 그러고 보니 오른발도 살짝 힘을 준 듯하군요.


- 옆 모습


양 옆구리에서 흘러내린 옷 끈은 중간에서 둥근 고리에 꿰인 채 아래로 흘러내려 엉덩이 아래로 감춰졌습니다.


- 왼발


왼발은 아래로 내려 연화족좌(蓮花足座)를 밟고 있습니다. 이 왼발은 양손과 오른발보다 생동감이 떨어집니다. 연화족좌와 함께 후에 수리된 것이라고 하는데, 그래서 그런 모양입니다.


- 뒷모습


뒷모습입니다. 가녀린 벗은 상체가 묘한 느낌을 줍니다.


- 대좌


대좌는 불상보다 높이가 낮은 편으로, 위에 둥근 방석이 놓여 있는 특이한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 금동미륵반가사유상


이 반가사유상에 많은 사람이 왜 마음을 빼앗겼을까요? 이런저런 생각들이 머릿속을 맴돕니다. 하지만 이것이 부질없음을 깨닫습니다. 백 가지 천 가지 말보다도 그저 말없이 바라보며 스스로 느낄 일입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산 감실부처  (0) 2015.08.24
창녕여고 석탑  (0) 2015.08.06
창녕 인양사 조성비  (0) 2015.07.27
합천 죽고리 삼존석불  (0) 2015.07.21
창녕석빙고와 석빙고비  (0) 2015.07.13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