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문수사 석탑 (사진 출처: 시니브로님)
김포 문수사 석탑은 기단부가 특이하게 방형 불대좌형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기단 위에 또 다른 기단이 있어, 두 기단 가운데 하나는 제 것이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즉, 이 탑이 처음부터 방형 불대좌형 석탑인지에 대해서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 개성 흥국사 석탑 (사진 출처: 눌인님)
방형 불대좌형 석탑은 주로 북한 지역에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개성 흥국사 석탑과 개성 관음사 칠층석탑이 있습니다.
사진은 흥국사 석탑의 모습입니다. 기단부가 방형 불대좌형을 하였습니다. 기단 아래와 위쪽에 복련과 앙련이 있고, 가운데에 면석이 있습니다. 기단 갑석 윗면에는 낮은 탑신괴임이 있습니다.
개성 관음사 칠층석탑의 모습입니다. 기단부가 방형 불대좌형을 하였는데, 그 형태는 개성 흥국사 석탑과 유사합니다. 다만 기단 갑석 윗면에 탑신괴임이 있는지 없는지 잘 관찰되지 않습니다.
- 문수사 석탑 기단부 (사진 출처: 시니브로님)
다음카페의 달넘새님은 문수사 석탑을 방형 불대좌형 석탑으로 보았습니다. 즉 아래쪽의 기단을 제 것으로 보았고, 위쪽 것은 다른 탑의 기단으로 보았습니다.
- 고달사지 석조 불대좌 (사진 출처: 솔뫼님)
달넘새님이 문수사 석탑을 방형 불대좌형 석탑으로 본 근거로 나말여초의 방형 불대좌 가운데 문수사 석탑의 방형 불대좌형 기단과 비슷한 예가 거의 없다고 했습니다. 고달사지 석조 불대좌를 한 번 보시죠. 그 형태가 문수사 석탑의 방형 불대좌형 기단과 닮지 않았나요?
- 김천 수도암 석조 보살좌상의 대좌
김천 수도암 석조 보살좌상의 대좌 역시 전체적인 형태가 문수사 석탑의 방형 불대좌형 기단과 닮았습니다. 고달사지 석조 불대좌와는 달리 중대석이 정사각형에 가까운 점에서는 조금 차이가 납니다.
문수사 석탑의 방형 불대좌형 기단 면석에 안상무늬가 있습니다. 고달사지 석조 불대좌와 수도암 석조 보살좌상의 대좌에서도 역시 면석에 안상무늬가 있습니다. 이것은 개성에 있는 두 석탑에서는 볼 수 없는 점입니다.
- 개성 흥국사 석탑과 문수사 석탑의 기단부 (사진 출처: 눌인님, 시니브로님)
마지막으로 북한의 두 석탑과 문수사 석탑에서 방형 불대좌형 기단 면석 폭과 1층 몸돌 면석 폭의 비율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이런 점들은 문수사 석탑의 방형 불대좌형 기단이 불대좌일 가능성을 제시해 줍니다. 따라서 문수사 석탑을 방형 불대좌형 석탑으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이 듭니다.
p.s.) 글의 전개를 위해 여러분의 사진을 가져왔습니다. 양해 없이 가져와 죄송합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0) | 2015.04.27 |
---|---|
경복궁 신무문 (0) | 2015.04.22 |
낙원상가 앞 석탑 (0) | 2015.04.08 |
창원 삼정자동 마애불 (0) | 2015.04.01 |
창원 용지공원 내 천선동절터 삼층석탑 (0) | 201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