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부산 운수사

sky_lover_ 2015. 1. 15. 08:08

- 부산 운수사

양산 서쪽 중턱에 있는 운수사(雲水寺)는 전망이 뛰어난 곳에 자리 잡았습니다. 조선시대의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에 운수사의 저녁 종소리가 은은하게 울려 퍼지는 것을 '운수모종(雲水暮鐘)'이라 하여 사상팔경(沙上八景) 가운데 하나로 꼽았습니다.

이 절은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가락국 때 또는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는 있지만, 임진왜란 때 왜병의 방화로 건물은 물론이고 기록들까지 모두 없어져 버려 확인할 길이 없습니다.

- 운수사 전경

운수사에 대한 기록은
임진왜란 이전 것은 없고, 임진왜란 이후에 간행된 읍지에 나타납니다.

처음 간행된 <동래부지(東萊府誌)>(1740년) 불우조(
佛宇條)에 '운수사의 처음 이름은 신수암이다.(雲水寺 初名 新水庵)'라고 하였,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751년)에 '운수사는 부의 남쪽 30리 선암산에 있다.(雲水寺 在府南 三十里 仙巖山)'라 하였습니다.

- 대웅전에서 바라본 석탑

절은 주말을 맞아 참배객과 등산객들로 제법 북적입니다. 이곳 대웅전 앞마당 최근에 조성된 석탑이 있습니다. 탑은 단층 기단에 5층 석탑으로, 날렵하게 생겼습니다.

- 대웅전 앞면

대웅전은 부산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입니다. 건물 종도리(서까래를 고정하는 목재)의 밑면에서 발견된 묵서명(墨書銘)에 의하면, 조선 효종 6년(1655년)중수한 건물입니다. 기장 장안사 대웅전보다 2년 더 앞섭니다.

- 대웅전 옆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 맞배집입니다. 건축양식이 양산 신흥사 대광전과 부산 범어사 대웅전과 거의 같습다.

- 대웅전 돌기둥

건물 앞쪽 돌기둥에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 글자는 사는 곳과 이름입니다.

이 이름은 시주자 이름임이 분명한데, 나무 기둥이 썩어서 교체하는 공사 때 새긴 것으로 보입니다.
그 시기는 연대 표기가 없어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1907년~1918년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석조삼존불

대웅전 내에는 삼존불이 모셔져 있습니다. 본존불은 석가여래상이고, 협시불은 문수보살상과 보현보살상입니다.
이 불상들은 모두 돌로 만들어졌으며, 조선시대 후기에 만들어졌습니다.

- 석조여래좌상

본존불의 모습입니다. 얼굴은 네모꼴이고, 표정은 근엄합니다. 수인은 항마촉지인에 가깝고, 자세는 결가부좌를 하였습니다. 법의는 통견입니다. 승각기(僧脚崎) 수평으로 내려 입었는데, 띠 매듭 주름을 연꽃 모양으로 한 것이 앙증맞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 팔성암터와 마애불  (0) 2015.02.03
경주 옥다리들절터  (0) 2015.01.26
구포 구룡사 오층석탑  (0) 2015.01.12
부산 선암사 석탑재  (0) 2015.01.05
성주향교 명륜당  (0) 2014.12.29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