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영천 신월동 삼층석탑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1916년
출판)
<조선고적도보>에
영천폐사지삼중탑(永川廢寺址三重塔)으로 소개된 탑입니다. 지금은 영천 신월동 삼층석탑이라 부르는 탑입니다.
폐사지라는 이름에 걸맞게
허허벌판에 탑이
서 있습니다. 두 사람이 서 있는 쪽 상층기단부 면석은 언제 빠져나갔는지 보이질 않습니다. 그래도 용케 탑은 무너지지 않고 잘 버티고
서 있습니다. 상층기단부 면석에는 팔부중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탑신부 1층 몸돌에는 문비 장식이 새겨져 있으나, 사진에선 잘 보이지는 않습니다.
상륜부는 이미 모두 없어졌습니다.
- 영천 신월동 삼층석탑
영천시 금호읍 신월리에 탑못이라는 저수지가 있습니다. 탑은 그 못둑 바로 아래 평지에 있는 신흥사라는
절 마당에 있습니다.
통일신라 하대인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그리 크지 않은 탑입니다. 상층기단부
면석에는 팔부중상이 새겨져 있고, 1층 몸돌 4면에 자물쇠와 문고리가 새겨진 문비 장식이 있습니다. 탑신부 몸돌의 앞면 또는
앞뒤 양면에 문비와 자물쇠를 새긴 예는 더러 볼 수 있지만, 이렇게 4면 모두에 새긴 예는 드뭅니다.
그런데 지금의 탑 모습이 <조선고적도보> 사진과 비교해 볼 때 조금 무겁게 느껴지지
않습니까? 단지 착시현상인가요?
- 기단부 면석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1916년 출판)
<조선고적도보>에 따로 소개된 기단부 면석입니다.
위 첫 번째 사진에서 두 사람이 서 있는 쪽의 맞은 편 면석입니다. 면석의 팔부중상은 교각좌(交脚坐)란
특이한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교각좌란 의자좌(椅子座)에서 변형된 자세로, 의자에 앉아 양쪽 다리를 교차시킨 자세를
말합니다.
- 기단부 면석
위 기단부 면석의 지금 모습입니다. 이 면석에는 2구의 팔부중상이 새겨져
있으나, 마모가 심해서 정확한 형태를 알아볼 수 없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고적도보>로 우리 문화재 살펴보기(6): 상주 석심회피탑 (0) | 2013.01.22 |
---|---|
스쳐 가며 잠시 바라본 남간사터 당간지주 (0) | 2013.01.21 |
<조선고적도보>로 우리 문화재 살펴보기(4):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과 조탑동 오층전탑 (0) | 2013.01.19 |
<조선고적도보>로 우리 문화재 살펴보기(3): 안동 법흥사터 칠층전탑 (0) | 2013.01.18 |
창림사터 삼층석탑을 다시 찾다. (0) | 201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