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안동 법흥사터 칠층전탑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1916년 출판)

<조선고적도보>에 안동읍 동 칠중전탑(安東邑東七重塼塔)으로 소개된 탑입니다.

이 탑은 안동 법흥동에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탑(塼塔)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되었습니다.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에 세워졌으며, 조선 성종 18년(1487년)에 개축되었다고 합니다. 개축 당시만 해도 세 칸 정도의 법흥사가 남아 있었다고 합니다.

사진에는 절은 이미 폐사되었고,
탑 앞에는 초가집이 들어서 있습니다. 초가집에 있는 곳에는
지금 중앙선 철길이 들어서 있습니다. 탑 일부는 무너져내렸고, 4층과 5층 지붕돌 낙수면 일부에 기와 흔적이 보입니다. 지금 탑 바로 뒤로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이 있습니다. 그런데 당시에는 없었는지 사진에서는 잘 보이질 않습니다.

안동의 향토지인 <영가지(永嘉誌)>는 이 탑에 대해 "부성(府城)의 동쪽 5리 지점에 있다. 7층이며, 본부(本府)의 대비보(大裨補)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위에 금동의 장식이 있었는데, 이고(李股)가 철거해서 관(官)에 납품하여 객사(客舍)에 필요한 집기를 만들었다."라고 하였습니다.

- 안동 법흥사터 칠층전탑

지금의 탑 모습입니다.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과 중앙선 철길 사이에 끼어 있다시피
겨우 서 있습니다. 높이가 17m에 이를 만큼 크고 웅장합니다. 단층기단에 7층 탑신을 쌓아 올렸습니다. 탑신은 회흑색 벽돌을 서로 어긋나게 쌓아 올렸는데, 위로 갈수록 차츰 크기를 줄였습니다.

기단에는 사천왕상 또는 팔부중상으로 보이는 조각상을 돋을새김한 화강암 판석을 면마다 6매씩 세우고, 동남쪽 면 중앙에는 계단을 두었습니다. 계단이 있는 1층 몸돌 쪽에는 화강암으로 테를 두른 감실이 있습니다. 몸돌 높이가 1층보다 2층에서는 약 1/4로 급격히 줄었지만, 3층 이상에서는 별로 줄지 않았습니다. 지붕돌에는 처마 위 아랫면에 층단이 있고, 낙수면 일부에 기와를 덮었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상륜부는 현재 노반만이 남아 있습니다.

이 탑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신세동 칠층전탑이라 하였습니다. 지금은 안동 법흥사터 칠층전탑으로 바뀌었는데, 옛 법흥사의 탑으로 보고 있기에 그렇게 하였을 것입니다. 옛 법흥사는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이 있는 자리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