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노거수

부산 감천동 팽나무, 느릅나무

sky_lover_ 2024. 5. 29. 06:16

- 팽나무공원

 

부산 감천초등학교 앞 도롯가에 팽나무공원이 있습니다. 공원에 제당과 당산목 팽나무, 노거수 느릅나무가 있습니다.

 

- 제당

 

제당은 감천1동 하당 당산제(甘泉一洞下堂堂山祭)를 지내는 장소입니다. 하당 당산제는 매년 음력 10월 7일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입니다.

제당이 처음 세워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지금 제당은 2006년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제당이 노후하여 다시 세웠다고 합니다. 하당(下堂)을 '인동 장씨 할매'라고 하고, 당산제를 '인동 장씨 할매 당산제'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감천의 시조격인 인동 장씨(仁同張氏)가 당산목을 심었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제당은 기와 맞배지붕에 벽은 블록을 쌓아 시멘트로 마감하였고, 문은 여닫이문입니다. 문이 잠겨 있어 내부를 볼 수 없습니다. 제단 위에 정화수 그릇 3개, 마른 명태 1마리, 촛대 2개, 향로 1개가 얹혀 있다고 합니다. 나무 위패에는 '하당수신지위(下堂水神之位)'라고 적혀 있다고 합니다.

 

- 감천동 팽나무

 

제당 뒤쪽에 노거수 팽나무가 있습니다. 팽나무는 보호수이자 당산목입니다.

 

- 감천동 팽나무

 

팽나무는 남부 지방에서는 '포구나무'라고 합니다. 이 나무가 해안가 포구에 많이 있어 붙여진 이름입니다.

 

- 감천동 팽나무

 

수령: 400년. 높이: 15m. 가슴높이 둘레: 5.2m.
소재지: 부산 사하구 감천동 140-4.

 

- 팽나무와 느릅나무

 

당산목 팽나무 옆에 노거수 느릅나무가 있습니다.

 

- 감천동 느릅나무

 

느릅나무는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입니다. 높이가 20m까지 자라는 큰 나무입니다.

 

느릅나무는 한자로 유(楡)라고 합니다. 뿌리껍질은 유근피(楡根皮)라고 하고, 나무껍질은 유피(楡皮) 또는 유백피(楡白皮)라고 합니다. 유백피는 옛날부터 한방 약재로 사용되었습니다.

 

느릅나무를 간혹 '코나무'라고 합니다. 이것은 나무나 뿌리의 껍질을 끓이면 끈적이는 콧물 같은 점액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일부에서는 코 질환에 좋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 감천동 느릅나무

 

<초사(楚辭)>는 중국의 고전 시가 작품집입니다. 이 책에 실려있는 '구탄(九嘆) 원사(怨思)'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마음은 답답하고 괴롭네

불우한 처지를 당해도 뜻을 바꾸지 않으리.

몸은 새벽까지 잠 못 이루어 초췌하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오래 슬퍼하네.

텅 빈 방의 외로운 사람을 가련히 여기고

메마른 사시나무 위의 어린 새를 슬퍼하네.

외로운 암새는 높은 성벽에 짖고

울던 비둘기는 뽕나무와 느릅나무에 깃들이네.

 

이 시에서 슬피 울던 비둘기가 깃들이는 나무가 뽕나무와 느릅나무, 즉 상유(桑楡)입니다.

 

- 감천동 느릅나무

 

상유(桑楡)는 뽕나무와 느릅나무를 뜻합니다.

 

고전에서 '상유(桑楡)'는 해가 질 무렵을 가리킵니다. 저녁 해가 뽕나무와 느릅나무 위에 걸려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인생의 노년을 뜻하는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 감천동 느릅나무

 

수령: 200년. 높이: 20m. 가슴높이 둘레: 2m.
소재지: 부산 사하구 감천동 140-4.

 

(2024.5.26.)

'노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두원리 소나무  (0) 2024.06.03
부산 감천동 느티나무  (0) 2024.05.31
부산 감천동 노거수 팽나무  (0) 2024.05.28
창원 단계리 우곡사 은행나무  (0) 2024.05.27
김해 설창리 느티나무  (0) 2024.05.24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