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한천서원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에 있는 한천서원(寒泉書院)은 충렬공(忠烈公) 전이갑(全以甲, ?~927)과 충강공(忠康公) 전의갑(全義甲, ?~927)을 배향하고 있습니다.
전이갑은 고려의 개국 공신으로, 고려 태조 10년(927년)에 견훤의 침공을 받은 신라를 돕기 위하여 왕건과 함께 출정하여 팔공산 동수에서 싸우던 중 순절하였습니다. 전의갑은 전이갑의 동생으로, 동수 전투에서 형과 함께 순절하였습니다.
한천서원의 건립 시기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영남읍지(嶺南邑誌)>에는 조선 헌종 6년(1840년), <달성군지(達城郡誌)>와 <교남지(嶠南誌)>에는 헌종 13년(1847년), 서원에 소장된 <한천재 중건기(寒泉齋重建記)>와 <한천서원 복설기(寒泉書院復設記)> 등의 현판에는 헌종 4년(1838년)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천서원은 흥선대원군 집권기 때인 고종 8년(1871년)에 훼철되었습니다. 1908년에 후손들에 의해 몇 칸의 건물이 복원되었고, 1960년에 한천재(寒泉齋)가 중건되었으며, 1989년에 한천서원으로 복원되었습니다.
- 한천서원
한천서원 건물은 강당인 한천서원과 사당인 충절사(忠節祠) 등이 있습니다.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1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입니다. 충절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 한천서원 은행나무
한천서원 담장 밖 도롯가에 노거수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한천서원 은행나무입니다.
이곳 마을 이름이 '행정(杏亭)'입니다. 이 은행나무로 인해 이런 마을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 한천서원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늙고 병들었습니다. 밑동에 외과 수술을 받은 흔적이 군데군데 있습니다.
- 한천서원 은행나무
은행나무 큰 줄기는 썩어 없어졌고, 작은 줄기만 남아 있습니다. 남아 있는 줄기도 윗부분인 우듬지가 잘려 나갔습니다.
- 한천서원 은행나무
이 은행나무는 노거수 은행나무치고는 볼품이 없습니다. 그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 한천서원 은행나무
제 몸 하나 돌보기도 버거운 노거수 은행나무는 힘겨운 모습으로 서원을 지키고 있습니다.
수령: 1000년. 높이: 20m. 가슴높이 둘레: 6.8m.
소재지: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870.
(2024.1.14.)
'노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천 영천향교 회화나무 (1) | 2024.01.23 |
---|---|
대구 가창면 오리 시무나무 (1) | 2024.01.22 |
대구 가창면 행정리 이팝나무 (0) | 2024.01.19 |
고성 고봉리 느티나무 (0) | 2024.01.15 |
울산 매곡동 소태나무 (1) | 2024.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