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하양 무학로 교회


얼마 전 한국일보에 "대형교회 보란 듯... 승효상, 시골에 15평 '교회다운 교회' 짓다"라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기사 속의 교회는 경북 경산시 하양읍 주택가에 있는 신도가 30여명뿐인 작은 교회입니다. 조원경 목사가 1986년에 개척한 하양 무학로 교회입니다. 새로 지은 건물은 하양 무학로 교회의 새 교회 건물입니다. 



- 새 교회 건물


이 건물을 설계한 사람은 우리나라 대표 건축가인 승효상입니다. 


평소에 알고 지내던 조원경 목사가 "교회 건물이 너무 낡아 새로 지었으면 하는데, 7,000만원밖에 없다. 가능하겠는가?"라는 말에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그는 "가능하다"며 설계를 무료로 해주었습니다.


이렇게 교회 건물을 짓는다는 소문이 퍼지자 온정이 쏟아졌습니다. 대구의 한 벽돌공장 대표는 벽돌 10만장을 무상으로 지원해 줬고, 인근 사찰인 영천 은해사에서도 300만원을 기부했습니다. 하양읍 주민들도 기부에 동참했습니다. 공사비 7,000만원으로 시작한 건물은 약 2억원이 들었지만, 빚은 1원도 지지 않았습니다.


- 새 교회 건물


새 교회 건물은 창도, 간판도 없는 작은 단층 벽돌 건물입니다. 한국 교회의 상징인 높다란 첨탑과 네온사인으로 밤새 번쩍거리는 십자가도 없습니다.



- 구 교회 건물


구 교회 건물입니다. 새 교회 건물과는 많이 다르지만, 이 건물도 소박한 모습입니다.


- 야외 예배당


새 교회 건물 앞에 야외 예배당이 있습니다. 



- 야외 예배당


야외 예배당은 벽돌 강연대와 등받이 없는 벽돌 의자가 전부입니다. 이곳은 동네 주민을 위한 열린 공간입니다. 누구든 들러 기도를 하거나 앉아 쉴 수 있게 하였습니다.



- 세부


건물 한쪽 하늘로 향해 높게 솟은 외벽에 길게 'T'자형 틈을 두었습니다. 하늘로 향해 솟은 십자가를 떠올리게 합니다.


- 세부


한쪽 외벽에 작은 철재 십자가가 붙어 있습니다. 교회 건물이라는 걸 알려 주는 유일한 표식입니다.


- 세부


출입구는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있습니다. 



- 세부


출입구가 있는 쪽 건물 앞에 작고 얕은 못과 같은 시설이 있습니다. 맑은 물이 고여 있는 바닥에는 검은 자갈이 깔려 있습니다.


- 출입구


출입구는 문이 없이 그냥 뻥 뚫려 있습니다.



- 반대쪽 출입구


반대쪽 출입구입니다. 마주 보이는 기와집은 교회 안채입니다.



- 내부


출입구를 들어서자마자 단출한 예배당이 나옵니다. 외벽에 창이 없어 예배당 안은 어두울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예배당 안에 들어서는 순간 나도 모르게 아~ 하는 탄성이 나왔습니다.


예배당은 연면적 15평의 단층 구조입니다. 50명이 다닥다닥 붙어 앉을 수 있는 크기입니다. 사방이 벽돌 벽면으로 둘러싸여 있고, 신도석과 성가대석, 목사님이 설교하는 강연대와 의자, 예배 준비대, 낡은 피아노 한 대가 있습니다.


- 내부


목사님의 강연대는 여느 교회들처럼 높지 않고 신도석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습니다. 실내에 있는 소박한 소품들은 승 건축가가 일일이 디자인했다고 합니다.



- 내부


예배당 안에는 그 흔한 마이크나 스피커도 없고, 조명도 화려하지 않습니다. 이곳에서의 목사님 설교는 대화하듯 잔잔하게 들려올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은 실내가 작으니 가능한 일입니다.  


- 내부


사방이 벽으로 막혀있는 예배당 안을 밝혀주는 것은 얇고 길게 뚫린 천창으로부터 들어오는 빛입니다. 빛은 십자가가 걸린 벽면을 비추며 공간을 가득 채웁니다.



- 출입 복도에서 올려다본 모습


예배당 안에서 나와 출입 복도에서 올려다본 모습입니다. 햇빛이 벽면을 따라 길게 내리비춥니다.



- 옥상 쪽에서 내려다본 계단


건물 옥상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꽤 가파릅니다. 골고다 언덕길이 이와 같았을까요? 


- 옥상의 기도 공간


옥상에는 높이 4m 벽돌 벽을 세워 작은 기도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벽돌 벽에 'T'자 형의 틈새를 내어 경건한 느낌을 극대화했습니다.


- 새 교회 건물


옆에서 바라본 건물 모습입니다. 


벽돌로 둘러싼 건물에 창이 없습니다. 그래서일까요? 건물 크기는 작지만, 성채와 같은 단단한 느낌을 줍니다. 


- 야외 예배당의 기념 식수


야외 예배당 한쪽에 나무 한 그루가 서 있습니다. 나무는 기념 식수이고, 표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표석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조원경 목사님과 아름다운 인연 영원히 이어 주십시오. 2019. 5. 26.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 주지 운곡 돈관 합장


다른 종교를 적대시하는 현실에서 가슴 훈훈한 일입니다. 이런 작은 계기들이 쌓이면 언젠가는 종교가 다르더라도 서로 이해하고 포용하는 사회가 될 것입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 화포천 습지 생태공원  (0) 2019.08.20
여름 봉하마을...  (0) 2019.08.14
예천 회룡포  (0) 2019.06.03
지금 진평왕릉은 꽃동산...  (0) 2019.05.20
경주의 봄  (0) 2019.04.30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