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출허 樂出虛
- (전) 흥법사터 염거화상탑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1916년 출판)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염거화상탑입니다. 사진은 서울 탑골공원으로 옮겨진 때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폐흥법사염거화상탑(廢興法寺廉巨和尙塔)'으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상륜부에 노반, 복발, 보개가..
겸재 정선, 여산초당도(廬山草堂圖)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겸재 정선의 '여산초당도(廬山草堂圖)'라는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중국 강서성에 있는 여산(廬山)이라는 곳에 초당을 짓고 신선처럼 살았다는 당나라 시인 백낙천(白樂天)을 주제로 하였습니다. 여산에 은거하는 고사를 주..
- 조선고적도보 권14, 1934년 발행. <조선고적도보>는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가 우리나라의 고적조사사업을 진행하여, 그 성과를 사진으로 모아 도쿄(東京)에서 펴낸 책입니다. 전 15권으로 이루어졌고, 1915~35년 사이에 발행되었습니다. 최근 이 책 한 권을 큰 맘 먹고 경매를 통해 샀..
- 흥법사터 진공대사탑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1918년 출판) 강원도 원주에는 이름난 절터 세 곳이 있습니다. 흥법사터, 법천사터, 거돈사터가 그곳입니다. 이 세 절터에는 하나같이 빼어난 부도와 부도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1900년대 초 일본인들이 부도비만 제자리에 남겨두고 부도..
- 거돈사터 원공국사 부도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1918년 출판)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거돈사터 원공국사 부도의 모습입니다. 이 부도는 원래 강원도 원주에 있는 거돈사터에 부도비와 짝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때 서울에 살던 일본인 와다 미노루(和田稔)가 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