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모역(폐역) 대구시 수성구(壽城區)의 북쪽 지역에 고모동(顧母洞)이 있습니다. 고모동은 수성구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지역입니다. 자연 마을로는 고모령, 팔현, 큰갓골 등이 있습니다. 고모령은 고모역(폐역) 주변의 자연 마을입니다. 1948년에 발표된 호동아(유호의 필명) 작사, 박시춘 작곡의 '비 내리는 고모령'과 관련이 있는 지명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고모역(폐역) 맞은편 야산으로 50여m 정도 올라가면 고모동 이팝나무가 있습니다. 이팝나무는 네 그루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고모동 이팝나무 모습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이곳 이팝나무 가운데 가장 큰 나무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다른 이팝나무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고모동 이팝나무는 고모동에 마을이 생기면서 심었다고 전..

- 태화동 이팝나무 울산시 중구의 남쪽 지역에 태화동(太和洞)이 있습니다. 이곳은 태화강 강변을 따라 태화강 국가정원과 태화루 등이 있습니다. 태화동은 신라 선덕여왕 때 고승 자장(慈藏)이 산둥반도의 태화지(太和池) 가를 지나다가 홀연히 만난 신인(神人)으로부터 계시를 받았습니다. 이후 신라로 돌아온 자장이 지금 태화동으로 추정되는 사포(絲浦)에 머무르게 된 것이 인연이 되어 태화사(太和寺)라는 절을 세웠는데, 여기에서 이곳 지명도 생기게 되었습니다. - 태화동 이팝나무 태화루 맞은편 태화시장 주차장에 태화동 이팝나무가 있습니다. 이팝나무는 옛 태화동사무소가 있던 주택가 골목 안쪽에서 있을 때는 3그루였는데, 지금은 2그루만 남아 있습니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울산도호부 사직단 앞에 있을 때는..

- 고읍리 감나무밭 경남 사천시 정동면(正東面)의 북쪽 지역에 고읍리(古邑里)가 있습니다. 고읍리는 너른 들판을 가진 마을로, 이곳 지명은 옛 사천 고을의 중심이었던 읍치(邑治) 소재지였던 것에서 유래합니다. - 고읍리 이팝나무 고읍리 웃말과 아랫말 중간 지점의 들판에 고읍리 이팝나무가 있습니다.이팝나무가 있는 곳은 본래 풍수상 지세의 결함을 보허(補虛)하기 위해 만든 조산(造山)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1970년대 경지 정리로 조산은 없어지고, 이팝나무 한 그루만 조금 높다란 부지에 서 있습니다. 이곳은 배 모양의 형상이기 때문에 이팝나무는 돛의 구실을 하는 나무라고 합니다. - 고읍리 이팝나무 고읍리 이팝나무 모습입니다. - 고읍리 이팝나무 마을 사람들은 고읍리 이팝나무를 '헌 누더기 나무'라고 합..

- 강주연못 남해고속도로 사천TG 동쪽에 진주시 정촌면 예하리가 있습니다. 이곳에 강주연못이 있습니다. 강주연못은 진주 시민들의 나들이 장소입니다. 그리고 진주 지역 학생들의 소풍 장소로도 애용되어 왔습니다. - 강주연못 강주연못(康州蓮池), 일명 강주못(康州池)은 고려말 강주(康州, 진주의 옛 지명)의 진영지(鎭營址)라고 전합니다. 옛 지명에 진주목 남면의 세곡리(世谷里)에 강주와 영터(營基)가 나옵니다. 그리고 중 하륜(河崙, 1347~1416)의 촉석성문기(矗石城門記)에 "기미년(1379년) 가을에 지밀직배공(知密直裵公), 즉 배극렴(裵克廉, 1325~1392)이 강주진장(康州鎭將)으로 와 있으면서 목관(牧官)에 이첩하여 흙으로 된 촉석성을 돌로 쌓게 하였는데, 역사(役事)가 절반도 되지 못하여 ..

- 천곡리 이팝나무 김해 천곡리(泉谷里)는 주촌면(酒村面)의 중심 지역에 있습니다. 마을은 천곡(泉谷), 연지(蓮旨), 용덕(龍德), 3개 마을이 있습니다. 천곡(泉谷)은 뒷산에 샘이 많다고 해서 새미실, 즉 천곡이라 하였습니다. - 천곡리 이팝나무 주촌면 면사무소에서 천곡 마을 길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면, 천곡 마을회관 옆 언덕에 노거수 이팝나무가 있습니다. 천곡리 이팝나무입니다. - 천곡리 이팝나무 이팝나무는 'V'자 형태로 길게 뻗어 자랐습니다. - 천곡리 이팝나무 이팝나무는 땅 위 1m 부분에서 줄기가 둘로 갈라져 있습니다. 이 마을에는 나무의 동쪽 가지에 꽃이 많이 피면 동쪽 평야에 풍년이 들고, 서쪽 가지에 꽃이 많이 피면 서쪽 평야에 풍년이 든다는 이야기가 전하여 내려오고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