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정리 매화들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는 가창면의 북쪽 지역에 있습니다. 이곳은 남동쪽으로 가창면 상원리, 서쪽으로 용계리와 냉천리, 남쪽으로 단산리, 북쪽으로 수성구와 접하고 있습니다. 북쪽에 있는 용지봉(龍池峰)에서 남동쪽 병풍산(屛風山)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가 북동부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류인 상원천(上院川)이 합류한 신천(新川)이 남서쪽 경계를 통과합니다. - 행정리 매화들 행정리(杏亭里) 지명은 마을에 은행나무가 있어 붙여졌다고 합니다. 용지봉 남쪽 사면의 산기슭과 신천 가에 매화들, 공짐들, 목계들과 같은 들판이 있습니다. 매화들과 공짐들은 행정2리에 있고, 목계들은 행정1리에 있습니다. 행정2리에 흥덕(興德)과 퇴계(退溪) 마을이 있습니다. 흥덕(興德) 마을은 충청남도 대덕(..

- 이팝나무에서 바라본 석리 김천 마을 창녕 석리(石里)는 대지면의 북부 지역에 있습니다. 돌실, 석실, 석동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마을 앞에 큰 바위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큰 바위가 마치 마을의 문과 같아 보였으므로 석문동(石門洞)이라 하기도 하였습니다. 석리(石里)는 양파 시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은 창녕 성씨(昌寧成氏)의 집성촌입니다. 1850년대 아석(我石) 성규호(成圭鎬, 1832~1889)가 유어면 회룡에서 이곳으로 터전을 옮긴 이후 150여 년째 일가들이 세거해 오고 있습니다. - 석리 이팝나무 석리에 석동과 김천이 있습니다. 김천은 석동 동쪽에 있습니다. 김천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마을 동쪽에 만취정(晩翠亭)이 있습니다. 이 뒤쪽에 노거수 이팝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석리 이..

- 덕양리 이팝나무 청도군 풍각면 남동쪽 지역에 덕양리(德陽里)가 있습니다. 덕양리는 덕암(德巖)과 가양(加陽)이 합쳐진 지명입니다. 덕양리는 가양(加陽), 근촌(近村, 건촌(建村), 덕암(德巖)), 송월(松月), 승마(싱매)가 합해져서 이루어진 마을입니다. 가장 큰 마을은 가양이고, 근촌(건촌, 덕암), 송월, 승마(싱매)는 조그마한 마을입니다. - 덕양리 이팝나무 송월(松月)은 솔월이라고도 하며, 가양의 북쪽에 있습니다. 이곳 지명은 산 뒤에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고 달밤의 경치가 일경(一景)이라 하여 붙여졌다는 설과 소나무 숲이 무성하고 구름 모양이 보름달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송월 마을 앞에 오래된 이팝나무가 있습니다. 덕양리 이팝나무입니다. - 덕양리 이팝나무 이팝나무..

- 외눌마을 부산 눌차도(訥次島)는 본섬인 가덕도와 다리로 이어진 작은 섬입니다. 눌차도는 섬 모습이 매우 완만하고 누워 있는 모습이라 하여 지명이 유래되었습니다. 눌차도에는 외눌(外訥), 내눌(內訥), 항월(項越), 정거(碇巨) 마을이 있습니다. 가덕도에서 눌차도로 들어가면 섬 입구에 있는 마을이 외눌입니다. 외눌마을 서쪽 야산에 임진왜란 때 축성한 눌차왜성이 있습니다. 외눌마을은 눌차도 입구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외눌(外訥)이라고 하였습니다. 눌차도의 잘록한 부분 바깥쪽에 자리하여 밖목이라고도 하는데, 소리 나는 대로 반모라고 하기도 합니다. - 외눌마을 이팝나무 외눌마을 뒤쪽 비탈에 노거수 이팝나무가 있습니다. - 외눌마을 이팝나무 이팝나무는 두 그루입니다. - 외눌마을 이팝나무 두 그루 이팝나무..

- 어계고택 함안군 군북면 원북리(院北里)는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어계(魚溪) 조려(趙旅)가 살았던 곳입니다. 이곳에 조려와 관련된 곳이 여럿 있습니다. 서산서원(西山書院), 어계고택(漁溪古宅), 채미정(采薇亭)이 그것입니다. 원북(院北)이라는 지명은 과거 진양 방면의 역원인 어속원(於束院)의 북쪽에 있어 원(院)의 북(北)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마을은 본동(本洞), 태실(台谷), 새절골(新寺谷)이 있습니다. - 어계고택 이곳 본동 마을 제일 안쪽에 어계고택이 있습니다. - 어계고택 어계고택은 어계 조려가 태어난 곳이라고 전하지만, 이곳에서 태어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생가 아닌 고택(故宅)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지금 건물은 조선 후기에 다시 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