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삼문 향교(鄕校)는 크게 제례 영역과 강학 영역으로 나누어집니다. 제례 영역의 중심 건물은 대성전(大成殿)이고, 강학 영역의 중심 건물은 명륜당(明倫堂)입니다. 밀양향교의 제례 영역에서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은 내삼문(內三門)입니다. 내삼문은 정면 9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 대성전 내삼문을 들어서면, 엄숙한 느낌을 주는 건물을 마주합니다. 대성전입니다. 대성전은 공자(孔子)와 그리고 4성(四聖: 안자, 증자, 자사, 맹자), 송조6현(宋朝六賢) 가운데 2현(賢), 신라조(新羅朝) 2현(賢), 고려조(高麗朝) 2현(賢)의 위패를 모시고 있습니다. - 동무 대성전 앞쪽에 동서로 두 건물이 있습니다. 동무(東廡)와... -서무 서무(西廡)입니다. 동·서 양무(兩廡)는 정면 3칸, 측면 ..

- 홍살문 밀양향교(密陽鄕校)를 찾아갑니다. 밀성손씨(密城孫氏) 집성촌인 밀양 교동(校洞)마을의 위쪽 막다른 골목에 밀양향교로 들어가는 홍살문이 있습니다. 그 조금 안쪽에 솟을대문이 있습니다. 밀양향교는 창건에 대한 정확한 연대는 미상이나 문헌을 통해 보면 고려 중기인 인종 때(1122~1146년)에 설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주향교, 진주향교와 함께 영남 지방을 대표할 정도로 규모가 컸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35년(1602년)에 부사(府使) 최기(崔沂)가 중창하였고, 순조 20년(1820년)에 부사 이현시(李玄始)가 지금의 위치로 문묘를 옮겨 세웠습니다. - 솟을대문 솟을대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가운데 1칸에만 출입문이 있습니다. - 풍화루 솟을대문을 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