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김해 연화사
겨울 초입에 빗방울이 하나둘씩 떨어지는 찌푸린 하늘을 머리에 이고 김해
연화사(蓮華寺)를 찾았습니다. 연화사는 범어사 포교당이자 김해에서 가장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동상시장과 맞붙어 있는 도심 속의 절입니다.
이곳은 역사적으로 볼 때 가락국을 창건한 김수로왕의 부인 허황후가
살았던 곳(중궁터)으로 전해지며, 한때 호계사(虎溪寺)란 절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 후 조선시대에는 지방관아 부속건물인 객사 후원지가
되었습니다. 180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김해부내지도를 보면, 이 자리에 객사 별장인 함허정이라는 정자를 중심으로 연자루라는 누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함허정과 연자루는 사라지고 빈터만
남았습니다. 이 함허정 터에 포교당이 들어서면서 연화사가 되었습니다. 지금의 연화사는 1970년 11월 15일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75년에 중창한 것입니다.
절에 들어서면 바로 대웅전이 보입니다. 이 건물은 특이하게도 네모난 석축 연못 가운데에
있습니다.
- 가락고도궁허비
절 한쪽에 있는 가락고도궁허비(駕洛古都宮墟碑)입니다. 이 비는 이곳이 가락국의 옛 궁터임을 알리고
있습니다.
- 비의 머릿돌
절 마당에 있는 비의 머릿돌입니다. 비의 몸돌과 받침돌은 없어졌고 머릿돌만 남았습니다. 이
머릿돌에는 2마리 용이 여의주를 가운데에 두고 서로 다투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습니다.
- 석가여래삼존불
이곳
대웅전에는 석가여래삼존불이 모셔져 있습니다. 이 삼존불은 조선시대 후기의 목불로,
석가여래상을 가운데에 두고 좌우로 보현보살상과 문수보살상을 두었습니다.
- 석불입상
절 뒤쪽에 깨어진 석불이 있습니다. 미륵불로 불리는 석불입니다.
이 석불은 김해시 불암동 양정골과 김해시 대동면 선암부락 사이에 있던 것인데,
1972년에
남해고속도로를
건설할 때 산산조각이 났습니다. 그때 부서진 석불을 붙여 연화사
경내로 옮겨 놓았습니다.
- 석불입상
석불은 여러 조각으로 깨어진 것을 시멘트로 붙여 놓았습니다.
불신은 상반신만 남았는데, 상반신도 오른쪽 어깨와 팔 부분이 없어졌습니다. 지금 남은 부분만을 봐선 좌상인지 입상인지 알 수 없으나, <한국의 사찰문화재>에 입상이라고 소개되어 있습니다.
- 석불입상
석불은 두 눈을 지그시 감았고, 도톰한 입술을 꽉
다물었습니다. 두 귀는 길어서 어깨에 닿았고, 목에는 삼도가 있습니다. 법의는 통견이나, 옷 주름이 자연스럽지 못합니다. 가슴 부위에 올린 왼손바닥에는 약합 같은 것이 놓여 있습니다. 그래서
약사불이 아닌가 싶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향교 명륜당 (0) | 2014.12.29 |
---|---|
대원사 자진원오국사 부도 (0) | 2014.12.22 |
김해 은하사 석탑재 (0) | 2014.12.11 |
김해 동림사 석탑재 (0) | 2014.12.03 |
수수께끼로 남은 돌무덤, 전 구형왕릉 (0) | 201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