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흥륜사터 석조

주박물관 야외에 보기 드물게 큰 석조(石槽)가 있습니다.

그 크기가 일반 석조의 약 2배 크기에 달합니다. 석조의 겉면을 보면, 위쪽은 매끈하게 다듬어졌으나 아래쪽은 비교적 거칠게 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이 부분이 땅속에 묻힌 부분이라 그렇게 한 모양입니다
.


이 석조는 흥륜사터에 있던 것이라고 합니다.
석조의 뒤쪽 테두리에
새겨져 있는 명문에 그런 내용이 있습니다. 이 사실은 흥륜사터를 읊은 김시습의 시 한 편에서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여염집으로 변한 터에 오직 석조만 남았구나.  - 김시습(金時習)

보리 이삭 패어 옛터를 덮었는데                             麥秀漸漸雍故墟
사인(舍人)의 공적은 어디서 찾을꼬?                       舍人功業竟何居
들리는 닭과 개의 시끄러운 소리                             至今鷄犬喧齋粥
문득 그 옛날 불경 외는 듯하구나.                           便是當詩誦佛書
석조는 고달프고 가마는 불기를 잃었는데                 石槽遇困廓辭炎
허물어진 전각 터는 여염집으로 변하였구나.             殿閣餘墟化里閭
속인은 스님에 보시하고 스님은 속인에 보시하듯       俗古施僧僧施俗
윤회의 보덕 또한 의심할 바 없구나.                        輪回報德亦無嫌

 
* 사인(舍人): 순교 당시 이차돈(異次頓)의 직명


- 앞면의 명문

이 석조에는 여러 곳에 명문이 있습니다. 모두 조선시대에 새긴 것들로, 당시 풍류를 반영한 듯합니다.

그 가운데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앞면에 커다랗게 가로질러 새긴 '천광운영(天光雲影)'이란 명문입니다. 이것은 하늘 빛과 구름 그림자를 뜻합니다. 이 글귀는 주자(朱子)의 '관서유감(觀書有感)'이란 시에 나옵니다.

관서유감(觀書有感)   - 주자(朱子)

반 이랑 크기의 네모난 연못에 하나의 거울이 열려      半畝方塘一鑑開
하늘 빛과 구름 그림자가 같이 어울려 돌고                天光雲影共徘徊
묻노니 물이 어찌 그리도 맑은가 했더니                    問渠那得淸如許
살아 있는 물은 흘러오는 근원 있어서라 하네.            爲有源頭活水來


- 앞쪽 테두리의 명문

석조의 앞쪽과
뒤쪽 테두리에도 명문이 있습니다. 먼저 앞쪽 테두리에는 멋진 시 한 수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교방의 '석련지'라는 시입니다.

석련지
(石蓮池)   - 이교방(李敎方)

이요당 앞 쌍 석분은                                二樂堂前雙石盆
어느 해 옥녀가 머리 감던 그릇인가?           何年玉女洗頭盆
머리 감던 옛사람은 가도 연꽃은 피어나      洗頭人去蓮花發
헛되이 남은 향기 빈 그릇에 가득하네.        空有餘香滿舊盆

숭정 무자년(1648년) 유두날 소호 이교방     崇禎戊子流頭 蘇湖 李敎方


- 뒤쪽 테두리의 명문

뒤쪽 테두리에 있는 명문은 석조의 유래에 대한 것입니다. 조선 인조 16년(1638년) 경주부윤이었던 만회(晩悔) 이필영(李必榮, 1573~?)이 흥륜사터에 있던 것을 옮겨와 연꽃을 심었다는 내용입니다.

이것은 신라시대 흥륜사에 있던 것으로, 폐사된 후 가시 속에 던져져 천여 년이 지났다. 숭정 무인년 겨울에 운반해와 즐길 도구로 연꽃을 심었는데, 나타나고 사라짐이 수차례다. 인광릉후인 만회가 기록하다.
此乃羅代興輪舊物寺廢抛在荊棘中者幾千餘載 崇禎戊寅冬運入植蓮以爲賞玩之具顯晦有數 因廣陵後人 晩悔識


이처럼 옛 절터의 석조에 명문을 빼곡히, 그것도 드러나게 새긴 뜻은 무엇일까요?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