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원주 거돈사터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1916년 출판)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거돈사터의 모습입니다.
텅 빈 절터에는 나무들이 드문드문 서 있고, 멀리 보이는 축대 위에는 초가집들이 들어서 있습니다. 절이 사라진 이곳을 사람들이
삶의 터전으로 삼아 살고 있습니다. 하긴 한때 절집이 들어섰던 곳이니 이렇게 민가가 들어섰다고 해서 하나도 이상한 일은 아닙니다. 절터나 집터나
따지고 보면 다 그게 그것이 아닌가요?
폐허로 변한 이곳 절터에서도 탑은 비교적 건재합니다. 하지만 세월의 흐름은 어쩔 수 없었던
듯 탑 아랫부분에 따로 마련된 단은 많이 허물어졌습니다.
- 원주 거돈사터
거돈사터는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의
골짜기 깊숙한 곳에 있습니다. 이곳은 지금도 외진 곳이지만, 그때도 외진 곳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법천사터와는 고개 하나 너머 있을 만큼 서로
가깝습니다.
거돈사(居頓寺)는 통일신라시대 때 창건되어 고려시대 때 번창했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절입니다. 지금
이곳에는 불대좌가 남아 있는 금당터와 삼층석탑, 그리고 원공국사 승묘탑비 등이 빈 절터를 지키고
있습니다.
- 원주 거돈사터 삼층석탑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1916년 출판)
<조선고적도보>에
폐거돈사석탑(廢居頓寺石塔)으로 소개된 탑입니다. 당시 탑의 모습은 지금과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탑을 가리고 있는 나무는 지금
볼 수 없습니다.
- 원주 거돈사터 삼층석탑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입니다. 그런데 다른 석탑과 달리 축대를 쌓고 흙을 채워 네모꼴의 단을 마련한 다음, 그 위에 탑을 세웠습니다. 정면에 올라가는
계단도 따로 두었습니다.
탑은 군더더기가 없는 절제된 조형미를
지녔습니다. 이런 탑의 모습은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보는 이로 하여금
잔잔한 감동을 불러일으킵니다. 이 탑을 보며 문득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아름다움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하고 생각해봅니다. 단순한
가운데 절제되고 기품 넘치는, 바로 이런 모습에서 오는 것은
아닐까요?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고적도보>로 우리 문화재 살펴보기(9): 원주 흥법사터 진공대사탑비 (0) | 2013.01.26 |
---|---|
<조선고적도보>로 우리 문화재 살펴보기(8): 구황동 모전석탑터 인왕상 (0) | 2013.01.25 |
통도사 자장암 마애삼존불 (0) | 2013.01.23 |
<조선고적도보>로 우리 문화재 살펴보기(6): 상주 석심회피탑 (0) | 2013.01.22 |
스쳐 가며 잠시 바라본 남간사터 당간지주 (0) | 201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