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합천 백암리 석불

sky_lover_ 2021. 7. 20. 06:59

- 백암리 절터

 

경남 합천군 대양면 백암리 상촌마을의 골짜기 안쪽에 상촌저수지가 있습니다. 그 아래에 절터가 있습니다. 백엄사지(伯嚴寺址)로 추정되는 절터입니다. 이곳을 대동사지(大同寺址) 또는 백암사지(伯巖寺址)라고 하기도 합니다.

 

절터 일부는 경작지로 변하였고...

 

- 백암리 석불

 

절터에는 석불과 석등이 있습니다. 석불은 석등과 함께 도괴되어 있던 것을 지금 위치로 옮겨온 것이라고 합니다.

 

- 백암리 석불

 

백엄사(伯嚴寺)라는 절 이름은 신라 시대에 백흔(伯欣)과 엄흔(嚴欣)이 살던 집을 희사하여 절을 세워 두 사람의 이름 가운데 한 글자씩을 따서 지어졌다고 전합니다. <삼국유사>의 「백엄사석탑사리(伯嚴寺石塔舍利)」조에 백엄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습니다.

 

개운(開運) 3년 병오(丙午, 946년) 10월 29일 강주계(康州界, 지금의 진주) 임도대감주첩(任道大監柱貼, 파견된 관리가 작성한 일종의 공문(公文))에는 이렇게 말했다. 선종(禪宗)의 백엄사(伯嚴寺)는 초팔현(草八縣, 지금의 초계(草溪))에 있고, 절의 스님 간유상좌(侃遊上座)는 나이 39세라 했고, 절을 처음 세운 시기는 알 수 없다. 고전(古傳)에는 이렇게 말했다. 전대(前代)인 신라 때의 북택청(北宅廳) 터를 희사하여 이 절을 세웠으나 중간에 오랫동안 폐사되었다가 지난 병인년(丙寅年, 1026년)에 사목곡(沙木谷)의 양부(陽孚) 스님이 고쳐 짓고 주지가 되었다가 정축년(丁丑年, 1037년)에 세상을 떠났다. 을유년(乙酉年, 1045년)에 희양산(曦陽山)의 긍양(兢讓) 스님이 와서 10년 동안 살다가 을미년(乙未年, 1055년)에 다시 희양산으로 돌아갔다. 그때 신탁(神卓) 스님이 남원(南原) 백암수(白嵓藪)에서 이 절에 와서 전에 있던 법에 따라 주지가 되었다. 함옹(咸雍) 원년(1065년) 11월에 이 절의 주지인 득오미정대사(得奧微定大師) 석수립(釋秀立)이 절의 상규(常規) 10조(條)를 정했다. 그리고 새로 오층석탑을 세우고 부처의 진신사리 48알을 가져다 모셨다. 절의 상규 10조는 사재로 계를 모아서 해마다 사리탑을 공양할 것, 이 절의 법을 지키던 경승(敬僧)이었던 엄흔(嚴欣)과 백흔(伯欣)의 두 명신(明神)과 근악(近岳) 등 3위(位) 앞에 계를 모아 공양할 것, 금당 약사여래 앞의 바리때에 매달 초하룻날 공양미를 갈아 드릴 것 등으로 정했다. 이하 조목은 기록하지 않았다.


그 뒤 절의 역사는 전해지지 않으며, 폐사 시기는 15세기 전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백암리 석불

 

석불은 크기와 자세에 안정감이 있습니다.

- 백암리 석불

 

머리에는 높은 육계가 표현되었습니다. 얼굴은 계란형의 갸름한 윤곽이지만, 이목구비는 알아보기 힘듭니다.

 

- 부분

 

넓게 벌어진 어깨에는 통견의 법의를 걸쳤습니다. 법의의 깃이 넓게 트인 가슴에는 배꼽 부위에 매듭이 있는 엄액의(掩腋衣: 오른쪽 겨드랑이를 돌아 왼쪽 어깨에 걸쳐 입던 내의)가 표현되었습니다.

 

수인은 왼손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 땅을 가리키고 있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였습니다.

 

- 뒷모습

 

뒷모습입니다. 등 뒤로 넘긴 법의 자락이 표현되었습니다.

 

- 대좌

 

대좌는 상·중·하대석을 갖춘 연화대좌입니다. 상대석에는 앙련이, 하대석에는 복련이 새겨져 있습니다.

 

- 상대석

 

상대석의 앙련 일부는 마멸이 심하나 뒤쪽에는 비교적 형태가 잘 남아 있습니다.

 

- 인물상

 

팔각 중대석에는 면석마다 서 있는 인물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인물상 일부는 파손되어 없어졌습니다.

 

- 인물상

 

이 인물상은 무엇을 표현한 것일까요? 신중상(神衆像)일까요? 보살상(菩薩像)일까요?

 

- 백암리 석불

 

석불은 오랫동안 노천에 방치되어 온 탓에 마멸이 심합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신체에 단정한 인상의 얼굴, 넓은 어깨와 양감이 드러나는 상체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시대 불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산서당에 배롱나무꽃이 활짝 피었네.  (0) 2021.07.22
합천 백암리 석등과 느티나무  (0) 2021.07.21
포항 계원리 소나무  (0) 2021.07.13
의령 미연서원  (0) 2021.06.23
창녕 소곡서당  (0) 2021.06.13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