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창녕 사리 석조광배

sky_lover_ 2019. 11. 4. 11:09

- 사리 석조광배가 있는 전각


창녕 관룡사로 가는 길목에 있는 사리(舍里)에 자그마한 전각이 있습니다. 그곳에 석조 광배가 하나 있습니다. 사리 석조광배(舍里石造光背)입니다.


- 사리 석조광배가 있는 전각


전각은 그곳 마을 안쪽 외진 곳에 미륵암이란 현판을 달고 있습니다. 가까이 갔더니, 문이 열쇠로 굳게 잠겨 있습니다. 


아쉬움을 뒤로 하고 돌아서 나오다가 그곳 마을 사람을 만났습니다. 그래서 사정을 이야기했더니, 핸드폰으로 어디론가 연락하더니 자기를 따라오라고 했습니다. 열쇠를 찾아 문을 열어주었습니다.



- 사리 석조광배


사리 석조광배 모습입니다. 


불상은 없어지고 광배만 남았습니다. 광배는 일부 파손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좋습니다. 신라 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는 대흥사(大興寺)에 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광배는 보주형(寶珠形)의 윤곽 내부에 두광과 신광이 새겨진 주형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입니다. 원형의 두광과 신광은 2줄의 돋을새김으로 윤곽을 잡았습니다. 광배 중앙에 광배와 불상을 연결하기 위한 구멍이 있으며, 두광과 신광 테두리에 모두 9구의 화불(化佛)이 있습니다.



- 화불


신광 테두리에 있는 화불입니다. 화불 주위에 구름 문양, 불꽃 문양, 덩굴무늬가 있습니다.



- 화


광배 윗부분은 일부 파손되었습니다. 그래서 두광 위쪽 테두리에 있는 화불은 알아보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주위를 어둡게 하고 핸드폰 라이트를 비춰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화불의 윤곽이 제법 또렷이 드러납니다. 3구의 화불이 연화좌(蓮華座)나란히 앉아 있습니다.



- 두광의 연판문


두광에는 연판문(蓮瓣文)이 새겨져 있습니다. 연판문 주위를 구름 문양과 덩굴무늬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 화


신광 테두리에 있는 화불입니다.



- 화


두광과 신광을 갖춘 화불은 나르는 구름 위의 연화좌에 앉아 있습니다.



- 화


다른 화불도 마찬가지입니다.


- 화


가장 또렷하게 보이는 화불입니다. 표정이 보일 듯 말 듯 합니다.


- 광배 뒷면의 부조


사리 석조광배에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 하나 있습니다. 


광배 뒷면에 얕은 부조의 조각이 있는데, 건물 벽과 광배 사이가 좁고 어두워서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이것이 알려졌습니다. 위 사진에서 이 부조의 일부를 볼 수 있습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부분은 귀걸이와 같은 장식이 매달려 있는 귀꽃 부분입니다.



- 광배 뒷면의 부조 추정도(사진 출처: 민학기 님)


광배 뒷면의 부조 추정도입니다. 이 부조를 발견한 민학기 님은 불감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리장치로 보는 의견도 일부 있습니다.


- 사리 석조광배


사리 석조광배의 모습을 다시 한번 보세요. 그리고 아래 사진의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광배와 비교해 보세요.


-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두 광배는 그 모양이 마치 쌍둥이처럼 닮았습니다. 


-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광배 뒷면의 탁본(사진 출처: 민학기 님)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광배 뒷면에도 사리 석조광배와 비슷한 부조가 있습니다. 이러한 부조는 불상의 장엄함을 더하기 위함이겠지요.


이러한 형태의 광배는 매우 드뭅니다. 그리고 창녕과 괴산은 절대 가깝지 않은 거리입니다. 그런데도 이처럼 닮은 광배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 의림사 삼층석탑  (0) 2019.11.15
창녕 관룡사의 가을...  (0) 2019.11.08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 그리고 가을...  (0) 2019.10.07
경주 호원사지  (0) 2019.09.05
경주 이조리 개무덤  (0) 2019.09.02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