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삼성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 리움(Leeum)은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남산자락에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세를 지닌 한남동에 자리하였습니다.
건물은 MUSEUM 1과 MUSEUM 2, 그리고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USEUM 1과 MUSEUM 2는 각각 고미술과 현대미술품의 상설전시를 위한 공간이며, 미술관 입구에 자리한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는 다음 세대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 관련 시설입니다.
이 세 건물은 세계적 건축가인 마리오 보타, 장 누벨, 렘 쿨하스가 맡았는데, 각각의 건물은 건축가의 개성을 드러내는 다양한 재료와 혁신적인 기법이 사용되었습니다. 마리오 보타는 흙과 불을 상징하는 테라코타 벽돌로 우리나라 도자기의 아름다움을 형상화했습니다. 장 누벨은 세계 최초로 부식 스테인리스 스틸과 유리를 사용하여 현대미술의 첨단성을 표현했습니다. 렘 쿨하스는 흔치 않은 재료인 블랙 콘크리트를 사용한 블랙박스를 선보이며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미래지향적 건축 공간을 구현했습니다.
- MUSEUM 1
MUSEUM 1은 마리오 보타가 설계했습니다.
건물은 남산의 경사면이 한강을 내려다보는 위치에 둔중한 입체(직육면체, 콘)로 들어서 있습니다. 지극히 단순한 직육면체와 역원추형 형태는 마리오 보타 건축 디자인의 상징과도 같습니다. 남산을 호위하는 듯한 직육면체의 매스와 남쪽 도로와 만나는 땅에 박힌 듯한 역원추형 매스는 서로 대비되면서도 단순한 볼륨의 조화를 이룹니다.
MUSEUM 1의 견고한 형태는 전통과 고미술품의 불변하는 가치를 수호하는 요새 또는 성(城)을 연상시킵니다. 특히 흙과 불로 만들어진 외벽의 테라코타 벽돌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온 한국의 도자기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직설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와 고고한 느낌의 외벽은 전통의 뿌리와 힘을 느끼게 하면서 삼성미술관 리움의 전체적 인상을 강렬하게 만들어 줍니다.
건축가 - Mario Botta
대지면적 - 2,333㎡
전체면적 - 9,850㎡
규모 - 지상 4층, 지하 3층
- MUSEUM 2
MUSEUM 2는 장 누벨이 설계했습니다.
이 건물은 삼성미술관 리움의 한국 근·현대미술가뿐 아니라 도널드 저드(Donald Judd),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 등 세계 정상의 현대미술가들을 망라하는 상설 전시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MUSEUM 2
건물은 대지 위로 자라난 나무들과 함께 그 형상 자체가 계속 생성되고 있는 현대미술을 상징하는 듯합니다. 지상으로 올라온 상층부는 유리로 된 외벽과 다양한 크기의 직육면체 '전시박스(cube)'를 주요소로 삼고 있습니다. 자유분방하게 배치되는 이 전시박스들은 건물 내부로는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전시 공간을 체험하게 하며, 동시에 건물 외부 형태를 역동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건축가 - Jean Nouvel
대지면적 - 1,787㎡
전체면적 - 5,167㎡
규모 - 지상 2층, 지하 3층
-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는 렘
쿨하스가 설계했습니다.
자신의
건물을 지나치게 드러나지 않게 함으로써 자신의 건축을 표현하고자 한 렘 쿨하스의 의지는 이 건축 단지를 내부순환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조화로운 도시의 모델로 승화시키고 있습니다.
건축가 - Rem Koolhaas
대지면적 - 3,980㎡
전체면적 - 13,254㎡
규모 - 지상 2층, 지하 3층
- 알렉산더 칼더의 작품
이곳의 건물과는 직접 관련은 없지만, 야외공간에 있는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의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1971년의 작품으로, 제목은 '거대한 주름(Grand Crinkly)'입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날... 경산 반곡지... (0) | 2018.04.20 |
---|---|
맑은내일발효공장 (0) | 2018.03.19 |
개발의 몸살을 앓는 섬, 진해 수도 (0) | 2018.01.16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더불어 평화전... (0) | 2017.12.28 |
가덕도 연대봉 (0) | 2017.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