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층석탑 만복사지를 세 지역으로 나누었을 때, 서쪽 지역에 석인상과 석조대좌(서금당지)가, 가운데 지역에 당간지주, 목탑지, 북금당지가, 동쪽 지역에 동금당지, 오층석탑, 석불입상이 있습니다. 오층석탑은 동금당지와 석불입상 보호각 사이에 있습니다. 탑은 절이 창건된 무렵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 오층석탑 탑의 높이는 5.75m입니다. 지대석 위에 단층 기단부가, 그 위에 5층 탑신부가 놓여 있습니다. 탑신부보다 기단부가 왜소합니다. 탑신부는 1층 몸돌이 특히 높고, 2층 몸돌부터 1층 몸돌 크기의 1/3로 줄었습니다. 지붕돌은 낙수면이 평박하며, 추녀 끝이 약간 들려 있습니다. 2층부터 별개의 받침돌이 몸돌과 지붕돌 사이에 끼어 있습니다. 이런 형태는 고려 시대 석탑에서 가끔 볼 수 있습니다...

- 만복사지 남원 시내에서 순창으로 가는 24번 국도의 왕정동 도로변에 큰 절터가 있습니다. 만복사지(萬福寺址)입니다. 이곳은 덕유산에서 뻗어내린 교룡산의 남쪽 자락입니다. 절터 뒤로 산자락이 나지막하게 감싸고, 앞으로는 요천(蓼川)이 흘러갑니다.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터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옛날에는 남원 시가지가 이곳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만복사(萬福寺)는 남원에서 가장 큰 절이었다고 합니다. - 만복사지 1530년에 편찬된 의 '남원도호부'(南原都護府)에 만복사는 고려 문종 재위 때(1046~1083) 창건되었다고 합니다. 절 이름은 부처님께 정성으로 기원하면 누구나 복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로 만복사(萬福寺)라 하였습니다. 정유재란 때인 선조 30년(1597년)에 왜구에 의해 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