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선산 해평동 석조여래좌상

sky_lover_ 2014. 7. 15. 08:05

- 선산 해평동 석조여래좌상

매봉산(미석산) 기슭에 보천골이 있습니다. 고려 충렬왕 왕자 왕소군의 병을 고쳐주었다는 보배로운 샘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골짜기 안에 정갈한 절 보천사(寶泉寺)가 있습니다.

보천사에는 얼굴은 손상되었으나 광배와 대좌는 모두 갖춘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이 한 분 모셔져 있습니다.

- 해평동 석조여래좌상

불상은 통일신라 전성기의 위엄이나 당당함은 사라지고 다소 왜소한 듯한 느낌을 줍니다.

얼굴은 둥근 편이며 볼살이 없습니다. 그런데 손상된 눈, 코, 입을 시멘트로 볼썽사납게 수리하여 보기에 안쓰럽습니다.
어깨는 좁고 움츠린 듯 각이 졌고, 가슴은 평면적입니다. 수인은 항마촉지인을 하였습니다. 법의는 통견으로, 옷 주름이 이완되어 약간 처진 듯하며, 배에 띠 매듭이 있습니다.

- 광배의 화불과 향로

광배는 약간의 손상과 마모가 있지만 완전한 편입니다.

두광과 신광은
두 줄의 선으로 구분되었고, 그 안에 보상화(寶相華)무늬로 장식되었습니다. 두광 가운데에 연꽃무늬가 있다고 하는데, 눈에 잘 띄질 않습니다. 두광과 신광 바깥으로는 양옆에 화불이 있고, 꼭대기에는 삼존불이 있습니다.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가 있습니다.

이제 광배 아래쪽을 한 번 보세요. 보이세요?
화불 아래에 향로가 있습니다. 다른 광배에서는 잘 볼 수 없는 것입니다.
 

- 대좌

대좌는 팔각연화대좌(八角蓮花臺座)입니다.

상대석에는 앙련이 있고,
하대석에는 복련이 있습니다. 중대석은 모서리기둥으로 나뉜 팔각형입니다. 하대석의 복련은 단순하지만, 상대석의 앙련은 겹으로 도드라지게 연꽃을 새기고 다시 낱낱의 꽃잎 속에 꽃무늬를 동글동글 수놓아 매우 화려합니다.

- 중대석의 비천상

중대석 면석에는 비천상과 꽃가지가 있습니다.


- 하대석의 귀꽃

하대석 귀꽃의 모습입니다.

복련 아래에는 하대저석이 있습니다. 이곳에는
양 끝에 구름무늬 같은 것이 새겨진 안상무늬가 있다고 하는데, 가려져 있어 보이지 않습니다.

- 해평동 석조여래좌상

지금의 보천사는 옛 절터에 다시 세운 절입니다.

광해군 10년(1618년)에 발간된 선산읍지 <일선지(一善誌)>에 "보천탄(寶泉灘)가에 예전에 보천사가 있었으니…"라고 했습니다. 이처럼 옛 보천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사된 후로 그 이름만 전해왔습니다. 그러다 절터에서 이 불상이 발견되면서 다시 법등을 잇게 되었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덕왕릉의 원숭이상  (0) 2014.07.23
성덕왕릉의 석인상  (0) 2014.07.19
군위 위성리 약사여래입상  (0) 2014.07.11
경주 신라 왕릉의 마무리 답사  (0) 2014.07.07
전 민애왕릉의 십이지상  (0) 2014.07.02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