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약수암 무량수전
통영 천암산과 장골산이 만나 남쪽으로 뻗은 끝자락에 조그마한 암자가 있습니다. 약수암(藥水庵)입니다.
절 아래에 약새미라는 샘이 있다고 합니다. 이 샘의 물이 피부병에 좋다고 합니다. 그래서 약수암이란 이름을 붙었나 봅니다. 이곳의 불전은 무량수전입니다. 이곳에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이 있습니다.

-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불상은 조선 후기의 것으로, 크기가 자그마합니다. 이 불상은 약수암의 전언에 따르면 통도사에서 옮겨 온 것이라고 합니다.

- 부분
머리에는 가운데에 중간계주와 정상부에 정상계주가 있습니다.
얼굴은 네모진데, 턱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져 있습니다. 가늘게 뜬 눈, 뭉뚝한 코, 가늘고 긴 입술에 희미한 미소를 띠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근엄한 느낌이 듭니다.

-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옷은 양어깨를 덮은 변형 통견식으로 입었으며, 가슴 아래에는 일직선의 승각기가 간략하게 표현되었습니다. 배 앞에도 두 개의 옷자락이 서로 교차해 있으며, 양다리 사이에 옷 주름도 양측으로 2개씩 펼쳐 놓았습니다.

-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결가부좌의 자세에 오른손은 어깨 앞으로 들고 왼손은 다리 위에 들어 엄지와 구부린 중지를 가볍게 맞대었습니다.

-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불상 크기는 58.3cm입니다. 그 크기로 보아 암자나 선방 등의 주불로 모셨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 제말 장군 묘 (0) | 2021.03.30 |
---|---|
남원 주천 석장승과 그 옆 시혜비 (0) | 2021.03.22 |
홍의장군의 마지막 거처, 창녕 망우정 (0) | 2021.03.18 |
울산 강동 화암 주상절리 (0) | 2021.03.15 |
땅속에서 꺼낸 사방불... 경주 굴불사지 사면석불. (0) | 2021.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