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범방동 삼층석탑
- 부산 범방동 삼층석탑
부산경남경마공원에서 북서쪽으로 약 1km 정도 떨어진 곳에 미음동사지(美音洞寺址)가 있습니다.
이곳은 금병산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뻗은 능선 중간 계곡 하단부에 해당합니다. 금병산이 3면을 둘러싸고 있고, 정면으로 봉화산이 보입니다. 절터에는 석탑만 남아 있는데, 범방동 삼층석탑이라고 합니다. 같은 곳임에도 탑 이름은 범방동 삼층석탑이고, 절터 이름은 미음동사지입니다. 아마도 이것은 이곳 지명이 원래는 범방동인데, 미음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미음동에 편입된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 범방동 삼층석탑
범방동 삼층석탑은 이층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와 노반으로 되어 있습니다. 전체높이는 2.4m로, 남쪽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 범방동 삼층석탑(2010.9.23.)
위의 사진은 약 7년 전의 모습입니다. 주위 모습이 지금과는 많이 달라졌습니다.
- 기단부
기단부는 이층기단입니다. 하층기단과 상층기단 면석에 모서리기둥과
가운데기둥이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갑석 아랫면에 부연이 있습니다.
- 하층기단부
하층기단부의 모습입니다. 기단저석과 면석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습니다. 하대갑석은 윗면에서 물매가 뚜렷합니다.
- 기단 갑석의 물매
상대갑석도 하대갑석과 같이 윗면에서 물매가 뚜렷합니다.
- 탑신부
탑신부 몸돌은 1층이 2층과 3층 몸돌에 비해 크고 높게 조성되었습니다. 그리고 3층 몸돌은 후에 보충된 부재로 보이는데, 2층 몸돌보다 높아 어색합니다. 지붕돌은 낙수면이 다소 가파르고, 아랫면의 층급받침이 4단입니다. 상륜부에는 노반만 남았는데, 거꾸로 놓여 있습니다.
- 범방동 삼층석탑
탑은 소형화되었고, 탑신부에서 균형미가 떨어집니다.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됩니다.
- 범방동 삼층석탑
탑이 있는 이 일대는 불과 몇 년 사이에 많이 변했습니다. 탑 바로 아래에 예전에는 탑동마을이 있었고, 주위가 논밭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곳에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탑동마을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고, 주위는 공단지역으로 빠르게 변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