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의창구 동읍 지역, 대산면 지역 노거수
1. 동읍 지역 노거수
- 월잠리 동월마을 팽나무
창원시(昌原市) 의창구(義昌區)에 있는 동읍(東邑)은 창원도호부 시절에 지금의 창원시 의창구 소답동에 있던 부성(府城)의 동북방에 있다고 하여 동면(東面)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 후 1995년에 창원군(昌原郡)의 대산면, 동면, 북면과 창원시가 통합되면서 동읍이 되었습니다. 동읍에는 산남저수지,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가 있습니다.
동읍의 노거수를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월잠리 동월마을 팽나무는 월잠리(月岑里) 동월(東月)마을 입구 언덕 길가에 있습니다. 높이는 14m, 가슴높이 둘레는 4.2m입니다. 현재 수령은 약 260년입니다.
- 화양리 곡목마을 팽나무
화양리 곡목마을 팽나무는 화양리(花陽里) 곡목(曲木)마을 입구에 있습니다.
높이는 20m, 가슴높이 둘레는 4.75m입니다. 현재 수령은 약 350년입니다.
- 신방리 푸조나무
신방리 푸조나무는 신방리(新方里) 칠성그린아파트 조금 위쪽 길가의 모암(母巖)에 있습니다. 다른 수종의 나무들과 함께 있습니다.
높이는 15m, 가슴높이 둘레는 2.5m입니다. 현재 수령은 약 220년입니다.
- 신방리 음나무군
신방리 음나무군은 신방초등학교 옆길 가 언덕 비탈에 있습니다.
음나무 네 그루 모두 높이는 약 15.4m, 가슴높이 둘레는 가장 큰 나무가 3.6m, 나머지 세 그루는 약 3.2m입니다. 수령은 약 400년입니다.
- 단계리 우곡사 은행나무
단계리 우곡사 은행나무는 우곡사(牛谷寺) 입구에 있습니다.
이 은행나무는 우곡사 창건 당시 무염국사가 심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둘레가 네 아름이나 되고 높이가 30m를 넘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근래에 화재로 나무 속이 시커멓게 타버려 겨우 형체만 남았으나 다행히 죽지 않고 살아남았습니다.
높이는 11m, 가슴높이 둘레는 7m입니다. 수령은 약 500년입니다.
2, 대산면 지역 노거수
- 갈전리 신전마을 팽나무
창원시(昌原市) 의창구(義昌區)에 있는 대산면(大山面)은 지명과는 달리 큰 산이 없는 넓은 들판 지역입니다. 지금의 지명은 들을 뜻하는 '뫼'가 '산'(山)의 훈인 '뫼'로 오인되어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니 대산면의 '대산'은 '큰 들'을 뜻합니다.
대산면의 노거수를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갈전리 팽나무는 갈전리(葛田里) 신전(新田)마을 입구 낮은 언덕에 있습니다. 높이는 약 20m, 가슴높이 둘레는 약 3.8m입니다. 수령은 약 150년입니다.
지금의 갈전리 신전마을 팽나무는 태풍으로 쓰러져 버린 거대한 팽나무의 후계목이라고 합니다. 이곳 주민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어미나무가 살아 있을 때 마을 사람들이 당산나무로 당제를 지냈으나 새마을 운동 당시 미신이라 하여 그만두었다고 합니다.
- 일동리 팽나무
일동리 팽나무는 일동리(一洞里) 일동(一洞)마을 뒷동산에 있습니다.
일동리 팽나무는 다른 노거수와 함께 있습니다. 높이는 16m, 가슴높이 둘레는 5.2m입니다. 현재 수령은 약 270년입니다.
- 모산리 남모산마을 느티나무
모산리 느티나무는 모산리(牟山里) 남모산(南牟山)마을의 입구인 유덕철강산업 정문 옆 길가에 있습니다. 높이는 14m, 가슴높이 둘레는 3.8m입니다. 현재 수령은 약 220년입니다.
모산리에 두 그루의 당목이 있습니다. 한 그루는 느티나무로, 남모산마을의 만당에 있습니다. 다른 한 그루는 팽나무로, 북모산마을에 있습니다. 서로 직선거리로 약 250m 떨어져 있습니다. 이곳 사람들은 만당에 있는 당목을 당산할아버지, 북모산마을에 있는 당목을 당산할머니라 합니다. 모산리 남모산마을 느티나무는 당산할아버지가 고사하여 그 뿌리가 자라난 '아들나무'입니다.
- 북부리 동부마을 팽나무
북부리 동부마을 팽나무는 북부리(北部里) 동부(東部)마을 뒤 주변이 탁 트인 언덕 위에 있습니다.
최근 이 나무는 인기 드라마의 무대가 되어 '우영우 팽나무'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높이는 16m, 가슴높이 둘레는 6.8m입니다. 수령은 약 500년입니다.
- 우암리 당목
우암리 당목은 우암리(牛岩里) 우암(牛岩)마을 경로당 앞 나지막한 언덕에 있습니다.
나무는 두 그루입니다. 서로 마주 보고 있습니다. 수종은 민주엽나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