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꿩 대신 닭, 유금사 석불

sky_lover_ 2020. 8. 20. 06:32

- 영덕 유금사

 

경북 영덕(盈德) 유금사(有金寺)는 칠보산(七寶山) 동쪽 기슭에 있습니다. 이곳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있는 유금(有金)마을의 서쪽 끝자락입니다. '유금'(有金)이란 지명은 금을 손으로 주울 정도로 많이 캤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합니다.

 

칠보산(七寶山)은 원래 등운산으로 불렀습니다. 그런데 고려 중기 때 중국 사람이 이곳을 지나가다가 샘물을 마셨는데, 맛이 특이한 것을 알고서 “샘물 맛이 보통 물맛과는 다르니 이 산에 일곱 가지 귀한 물건이 있다”고 말하자, 마을 사람들이 그 말을 듣고 귀한 물건을 찾아본 결과 돌옷(도릅나물), 산삼, 더덕, 황기, 멧돼지, 구리, 철 등이 나와 그 후로 칠보산으로 이름을 바꿔 불렀다고 합니다.

 

- 유금사

 

유금사는 지금은 자그마한 절입니다. 그러나 선덕여왕 6년(637년)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며, 조선 중기 이전까지는 승려가 수십 명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절이 갑자기 폐사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합니다. 어느 날 주지가 불국사 법회를 마치고 돌아오는 도중에 절 앞 용소(龍沼)에서 두 마리의 용이 교미하는 것을 보고 고약함을 느꼈는데, 절에 도착하기도 전에 갑자기 폭우가 쏟아져서 산사태로 절이 폐허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 뒤 다시 중건하였으나 화재로 소실되었고, 인조 5년(1627년)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지금 유금사에서 가장 오래된 당우는 대웅전입니다. 인조 5년(1627년) 중창 때 세워졌습니다.

 

- 삼층석탑이 있던 자리

 

유금사를 찾은 것은 아름다운 삼층석탑을 보기 위해서입니다. 그런데 대웅전 뒤쪽 뜰에 탑은 보이지 않고, 탑이 있었던 자리에는 푸른 방수포가 덮여 있습니다. 아마도 탑은 보수 수리를 하기 위해 해체되어 옆의 가건물에 옮겨진 것으로 보입니다.

 

- 유금사 삼층석탑(사진 출처: 문화재청)

 

문화재청에서 가져온 유금사 삼층석탑 사진입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탑을 직접 볼 수 없다니... 무척 아쉬웠습니다.

 

- 유금사 석불

 

탑을 보지 못한 아쉬움을 달래며 경내를 어슬렁거리다 대웅전 옆에 있는 석불이 눈에 띄었습니다. 석불 옆에 있는 두 기의 상(像)은 삼층석탑에서 나온 동제주악천인상(銅製奏樂天人像)을 크게 복제한 것입니다.

 

- 유금사 석불

 

그런데 석불이 어딘지 모르게 낯섭니다.

 

- 부분

 

몸체보다 머리가 지나치게 크고, 표정도 자연스럽지 못합니다. 과연 제짝인지 의문이 듭니다.

 

- 유금사 석불

 

석불은 약병을 두 손으로 감싸고 결가부좌 하였습니다.

 

- 부분

 

약병을 감싼 손 부분은 나중에 만들어 넣은 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 유금사 석불

 

이 석불에 대해 여러 추측이 있습니다. 옛것으로 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근세작으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눈 밝은 사람이면 금방 알 수 있을 것을... 아는 것이 모자라는 탓에 혼자서 이런저런 추측만 해봅니다.